환경생물학
-
생물다양성의 가치 :: 생물다양성협약, 종다양성 보호환경생물학 2020. 9. 23. 23:37
1. 생물다양성의 가치 : 의식주, 특히 음식물, 의약품, 산업용물질 >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로부터 얻음 :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는 인류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 > 많은 의약품들이 식물&동물에서 비롯됨 : 예) 항생제, 동양전통의약품, 신종플루와 붓산나무, 주목과 항암제 : 특히 농업에서 분명하게 생물다양성의 가치가 나타남 : 오래전부터 생산력증대를 위해 형질이 우수한 품종들은 교배, 유전적 다양성을 늘림 : 환경조건 변화에 내성을 갖도록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함 : 환경오염물질의 흡수, 분해, 대기와 물 정화, 토양의 비옥도와 적절한 기후조건을 유지하는데 생물다양성은 결정적인 역할 수행 2. 다양성보호를 위한 노력 1) 야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조약 : 철새보호조약 (2~3개국 간에 존재) : 야생생물보호..
-
야생생물의 역할, 야생동물 보호이유환경생물학 2020. 9. 23. 23:33
야생생물의 역할과 보호이유 : 야생생물의 보호이유에 대한 질문은 경우에 따라 대단히 어려운 문제 1) 야생생물의 역할 : 긍정적인 측면 - 식품, 연료, 의복재료, 의약품 등 인류의 생존을 지탱해온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 - 장래의 의학이나 1차산업 등에 기여할 종의 발견에 기여 - 수렵, 낚시, 자연관찰 등의 야외레크레이션의 대상 - 애완의 대상으로 인간의 윤택함을 지탱 - 물질순환의 수단으로 자연환경의 균형 유지에 기여 : 부정적인 측면 - 인간의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 인자, 병원균의 매개, 농림수산업의 가해인자 2) 위기 종을 보호해야하는 이유 : 심미적 이유 - 아름다운 풍관에 어우려져 살아가는 생물들은 대자연의 미적효과를 증대 > 인간의 안식과 쾌적함 : 윤리적 이유 - 모든 종은 유일한 존재 ..
-
생물 멸종 원인 :: 종다양성, 한반도의 종다양성환경생물학 2020. 9. 23. 23:30
1. 현재의 종 다양성과 멸종속도 1) 지구상의 다양한 종 : 거대 종부터 미세 종까지 다양한 생물이 존재 : 다양한 물리 환경 하에서 군집을 구성, 지구생태계를 구성 : 현재 밝혀진 종수 약 170만종 : 추정 종수 약 1250만종 (대부분 미세 종으로 추정) : 이미 동정된 종 (종으로 분류된 종)=한대 1~2%, 온대 13~24%, 열대 74~86% 2) 열대지방 : 지구면적의 7%를 차지 (아마존, 동남아, 중미지역) : 지구상에 분포하는 종의 40%이상이 존재 = 종의 보고 : 미동정종이 다수 존재, 모두 파악된다면 약 86%정도로 증가 예측 : 열대우림 = 식물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음 : 에콰도르 = 습윤한 열대우림의 교목(365종/ha) : 온대지방의 교목 = 12~15종/ha * 교목은 6..
-
생물다양성 ::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환경생물학 2020. 9. 20. 17:24
생물다양성 1. 생물다양성의 개념 생물종의 다양성 :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 : 육상 및 수생생태계,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 : 한 지역 내의 종의 다양성 정도 > 분류학적 다양성을 지칭 : 종 다양성은 환경요소의 다양성과 밀접히 관련 : 사막=낮은 종다양성, 열대우림=높은 종다양성 : 대부분의 종은 특정한 환경조건에 의해 유지됨 생태계 다양성 (Ecosystem diversity) :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지칭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 종내 유전자 변이를 말하며 동일 종내의 여러..
-
황사 :: 황사 사막화, 황사대책, 황사 억제방법환경생물학 2020. 9. 20. 17:19
1. 황사 발생강도에 미치는 영향들 1) 황사발원지역의 사막화 정도 : 토양의 습기상태(겨울의 눈), 봄비 : 관련 지역간 기온차 (바람생성) : 풍향 및 풍속 등 다양한 원인의 복합적 작용에 의함 : 기상이변 등에 의한 토양 건조화 및 사막화, 서북부 내륙과 남동부 해양간에 기온차가 크게 발생. (조금만 뜨거워져도 기온차가 크게 발생), 강풍 발생 소지 증가 : 황사의 빈도 및 강도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 2) 모래먼지의 부유조건 : 강풍이 불 것 : 건조한 흙먼지가 많을 것 : 대기 불안정을 유발하는 강한 햇빛 → 모래알이 강풍으로 움직이거나 구르다 부력에 의해 도약 → 강한 햇빛으로 인한 대류발생 → 모래흙이 부력을 받아 공중에 부유 → 상공의 강풍으로 한반도로 이동 → 한반도에 낙하하는 황사..
-
황사의 특징 :: 황사의 부정적 영향, 황사의 긍정적 영향환경생물학 2020. 9. 20. 17:16
1. 황사의 특징 1) 크기 및 구성 성분 : 발원지에 따라 다르며 20㎛보다 크면 상승하다가 부근에 떨어지고 20㎛보다 작은 것은 부유하여 상층까지 상승 : 사막지대에는 큰 모래가 많고, 황토지대에는 작은 토양입자 : 한반도와 일본에서 관측된 황사의 크기는 1~10㎛정도. ※ 1㎛입자는 수 년동안, 10㎛입자는 수 시간~수 일 정도 공중에 부유함 2) 황사먼지 입경분포 : 발생원지역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달라짐 : 10~1,000㎛ (다양) : 황사(sand)=1000㎛ 입자 : 황진(dust)=10㎛ 입자 : 우리나라에서는 황사현상이 연간 2~5일 정도, 주로 4월에 관측되며, 아시아먼지라고도 불림 : 발생빈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2. 황사가 미치는 영향 1) 부정적 영향 (多) 대기오염원 :..
-
황사 :: 황사의 정의, 황사의 역사, 황사 발원지 정리환경생물학 2020. 9. 20. 17:13
황사 1. 황사현상이란? : 봄철 중국대륙의 건조와 함께 고비사막, 텐겔사막, 타클라마칸사막, 신장, 황하유역 상류지대 등의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에서 발생 : 흙먼지가 강한 상층기류를 타고 3천~5천m 상공으로 상승, 초속 30m정도의 편서풍에 실려 한반도에 이동 2. 황사의 역사 : 중국 – 서기 300년 이후부터 황사의 관측기록이 존재 : 한국 – 조선왕조실록에도 황사의 기록이 자주나옴 태종 11년, 1411년 (14일동안 흙비), 성종 9년 4월, 1478년, 숙종 4월에 흙비 황사의 발생 : 공기의 팽창과 상승기류 발생이 원인 3. 황사발원지에서의 먼지현상 1) 모래폭풍, 양사, 부진 모래폭풍 (Sand or dust storm, 사천바오) : 황사 발원지의 무시무시한 모래바람 : 시정거리 1k..
-
생태계의 영양단계 ::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환경생물학 2020. 9. 20. 17:08
생태계의 영양단계 1) 생산자(producer, autotroph) : 식물, 조류 (algae ; 식물성플랑크톤), 광 영양 박테리아 > 광합성 생물 : 이산화탄소, 물, 미네랄과 광E를 이용, 유기물 생산 : 엽록소를 이용하여 빛E를 흡수 : 화학독립영양생물 (chemoautotroph)=지각의 무기물질로 부터 에너지를 얻는 박테리아 : 생산자의 생물량은 생물권 총 생물량의 99% → 소비자들이 안정된 생태계 유지 가능 셀룰로스와 리그닌을 깨는데 많은 E가 들어가서 생산자를 직접 E원으로 삼는 것은 제한적임 2) 소비자(consumer) : 동물, 몇몇 균류 (fungi ; 버섯을 포함한 곰팡이류), 원생동물 : 타 생물을 먹이로 하는 종속영양생물(heterotroph) : 소비자를 통한 E흐름 1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