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물학

시대별 환경문제와 인간, 환경파괴의 종류

오코씩 2020. 8. 19. 14:01

1. 환경문제와 인간

환경문제의 대두는 인간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시작됨 (편안함 추구 >> 환경교란)

 

60S

: 자연환경과 농업중심의 반자연환경이 풍부, 환경문제가 무엇인지도 모름

70S

: 새마을 운동, 산업화가속 > 공장지대증가 > 공해문제 대두

80S

: 도시화, 자동차 증가 > 배기가스, 소음, 광화학스모그, 오수와 폐기물, 하천수 및 호수의 수질오염

90S

: 산성비, 열대림감소, 사막화, 오존층파괴, 온난화, 해양오염 등 지구적인 문제대두

2000S

: 환경문제가 가장 큰 인류의 생존위협요인으로 부각

미래

: 환경문제의 해결정도가 잘사는 나라의 척도

 

2. 환경파괴의 형태

→ 일반인이 인식하는 범위와 규모가 대단히 다양함

 

유해물질 확산

: 발성원으로 부터 물, 공기, 생물 등의 매체를 타고 광범위하게 확산 > 피해 야기

: 산업현장 > 카드늄, 수은, 납

: 선박 > 기름, 도료

 

생태계의 불균형 초래와 파괴

: 생물들이 서로간에 독특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균형을 파괴 ex)먹이사슬 파괴

: 대규모 삼림벌채, 도로건설, 택지개발, 농지건설, 매립지, 간척지(갯벌매립) 등

: 순환, 균형, 동질성을 파괴하여 이질적 변화를 가져옴

 

참치 = 먹이사슬 상위포식자 ∴ 중금속 누적多

 

3. 환경문제를 다루는 영역과 범위

물질적, 화학적, 생물학적 복합물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

: 이를 전제로 정립하는 것이 요구

: 이론 + 기술적 내용 = 복합적 성격의 학문

 

환경문제를 다룸으로서 이해해야 할 사항

: 전체로서의 환경이 문제로 되어야함 (유기적인 연결관계)

: 특정부분의 환경변화가 어디에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사전에 알 수 없음을 인지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여 결론짓기 어려움

 

애완동물 유기 > 씨(열매)를 옮겨주는 다람쥐, 어치등을 잡아먹음 > 식물이 자라지(번식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