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물학

황사의 특징 :: 황사의 부정적 영향, 황사의 긍정적 영향

오코씩 2020. 9. 20. 17:16

1. 황사의 특징

1) 크기 및 구성 성분

: 발원지에 따라 다르며 20㎛보다 크면 상승하다가 부근에 떨어지고 20㎛보다 작은 것은 부유하여 상층까지 상승

: 사막지대에는 큰 모래가 많고, 황토지대에는 작은 토양입자

: 한반도와 일본에서 관측된 황사의 크기는 1~10㎛정도.

 

※ 1㎛입자는 수 년동안, 10입자는 수 시간~수 일 정도 공중에 부유함

 

2) 황사먼지 입경분포

: 발생원지역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달라짐

: 10~1,000㎛ (다양)

: 황사(sand)=1000㎛ 입자

: 황진(dust)=10㎛ 입자

: 우리나라에서는 황사현상이 연간 2~5일 정도, 주로 4월에 관측되며, 아시아먼지라고도 불림

: 발생빈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https://images.app.goo.gl/YteGMC6PwNwo3YxG7

2. 황사가 미치는 영향

1) 부정적 영향 (多)

대기오염원

: 석영 (실리콘), 카드뮴, 납, 알루미늄, 구리 등이 포함 된 흙먼지 > 황갈색으로 대기오염

: 대기 먼지량이 평균 4배 증가

 

대기에 영향

: 태양 빛을 차단, 산란시킴 (시정악화)

: 지구대기 열 수지에 영향 (복사열 흡수로 냉각 효과)

: 구름생성을 위한 응결핵 증가 > 배가 내리게 됨

: 농작물, 활엽수, 기공폐쇄 > 광합성방해 > 생육장애

 

사람 및 가축

: 호흡기관 깊숙이 침투 >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

: 안질환 유발 > 결막염, 안구건조증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불편 초래)

: 두드러기, 아토피, 구강알러지 등등

 

생활

: 빨래, 음식물 등에 부착, 침강

 

산업

: 항공기, 자동차, 전자장비, 반도체 등 정밀기계장애 증가

 

2) 긍정정인 영향 (미미)

: 중국도시나 공업지대 상공에서 황산염, 질산염 같은 중금속을 품어 염기성을 띰

: 산성인 국내토양을 중화시키고, 산성비의 중화 효과

: 해양 프랭크톤에 무기염류 제공 (생물학적 생산력 증대)

: 토양속 미생물에 의한 무기염 흡수 증대 > 생물학적 생산성을 증대

: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우리나라 토양에 좋은 비료가 될 수 있다는 의견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