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생물학 용어 정리 (4)신경생물학 2020. 8. 2. 15:16
Lateral inhibition ★
: (정보처리 과정에서) 억제성 뉴런이 나란히 배열된 흥분성 뉴런으로부터 흥분성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경회로이다. 그 결과 억제성 산출 신호는 흥분성 뉴런의 시냅스 후 표적으로 보내진다. 이 측면억제는 감각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측면억제는 빛 자극을 받은 광수용세포와 주변의 비자극 광수용세포의 차이를 증대시키고, 하위의 양극세포가 중심-주변 수용범위를 획득할 수 있는 기작을 제공한다.
Color-opponent RGCs
: 특정 스펙트럼 감수성을 가진 원뿔세포로부터 오는 신호를 구분하는 망막 신경절세포. 모든 포유류의 청-황 대립 망막 신경절세포는 장파장과 단파장의 빛은 구분한다. 삼원색을 보는 유인원의 녹-적 대립 망막 신경절세포는 두 종류의 장파장 빛을 구분한다.
ipRGCs
: 다른 망막 신경절세포와 마찬가지로, ipRGC는 dendrite를 내망상층에 확장해 양극세포를 통해 전달된 rod와 cone의 시각신호를 수신한다. 즉, 망막의 이미지 분석에 관여한다.
다른 망막 신경절세포와 구별되는 ipRGC의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이들은 빛에 의해 직접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ipRGC는 또 다른 형태의 광수용세포이다. 또한 ipRGC는 일주기성 시계를 운행하는 기능을 하며, 서로 다른 빛의 강도에 따른 동공 크기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공 빛 반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Retinotopy
: 연결대응, 시각 경로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망막 신경절세포의 위치에 따른 시각 경로 세포의 공간적 배열
Simple and complex cells
: simple cell은 특정방향의 막대모양의 빛 자극에 가장 잘 반응한다. 공간적으로 시야의 좁은 영역에만 한정되며, 자극의 방향에 매우 민감하다. 이들은 ON-OFF의 길항적 관계를 가진다. 또한 ON, OFF 영역을 모두 보완하는 확산된 빛은 simple cell을 흥분시키지 못한다. 아마도 이 세포는 시야의 특정 지역에서 선 또는 모서리에 대한 검출기로 생각된다.
Complex cell은 ON-OFF의 시야의 전체 공간에 대응하며, 수용범위의 어느 곳에서 라도 선 및 모서리의 ON, OFF 빛 자극에 대응할 수 있어서 simple cell보다 더 광범위한 선/모서리 검출 세포로 생각된다.
Binocular vision
: 유사한 시야 위치정보를 가진 2개의 눈으로부터의 입력을 통합하는 방식의 시각형태
P and M pathway in visual pathway
: 시각경로는 P경로와 M경로의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분되어 왔다. P경로는 수용범위가 작은 망막 신경절세포에서 유래하며, 높은 시력과 색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M경로는 수용범위가 넓은 망막 신경절세포에서 유래하며, 휘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시각 대비 및 순간 감도가 뛰어나다.
Face recognition areas
: 사람의 측두엽의 특징적 영역이고 사람의 표정에 따라 먼저 반응한다.
https://images.app.goo.gl/GL23unCi4L3YqPCz9
* Reference: Liqun Luo, 신경생물학의 원리, 라이프사이언스, 2017
'신경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생물학 용어 정리 (6) (0) 2020.08.19 신경생물학 용어정리 (5) (0) 2020.08.05 신경생물학 용어 정리 (3) (0) 2020.08.02 신경생물학 용어정리 (2) (0) 2020.08.02 신경생물학 용어 정리 (1) (0)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