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채 현상 및 색의 분류 :: 색의 3속성, 먼셀의 색체계색채심리 2020. 9. 20. 17:46
1. 색채 현상
가시광선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를 말한다. 색채 현상은 빛의 현상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빛의 현상은 인간이 물체 또는 광원에 대한 색을 지각할 때 매우 중요하게 작용되며, 각 물체마다 다른 색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물체색 : 물체가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하여 고유의 색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현상색 : 빛에 의해 시공간에 나타나는 현상의 색의 현상성이라 하며, 이에 따라 느껴지는 색을 말한다.
표면색 : 불투명한 물체에 표면에 비친 빛이 반사되거나 흡수되었을 때 나타나는 색이다.
투과색 : 색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체에 빛이 투과되어 나타나는 색이다.
빛의 반사 : 파동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전파해 갈 때, 경계면이 일부 파동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 원래 매질 안으로 되돌아 오는 현상(정반사, 난반사, 전반사)이다.
물질은 어떤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데 그들 물체의 빛깔은 반사된 일부의 빛에 의해 결정된다.
1-1. 색채 현상의 종류
반사(Reflection) 흡수(Absorption) 투과(Permeability) 굴절(Refraction) 회절(Diffraction) 산란 및 확산(Scattering) 간섭(Interference)
2. 색채 현상의 물리적 분류
색의 물리적 분류는 빛의 현상성을 바탕으로 독일의 심리학자이며, 실험현상학의 대표적 학자인 카츠(Katz, David)에 의해서 정리되었다.
평면색(Film Color)
면색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색지각에 있어서 순수한 자극색을 말한다. 거리감이나 입체감과 같은 지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순수한 색만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표면색(Surface Color)
인간이 사물을 지각할 수 있도록 사물의 질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색을 말한다. 대부분 불투명 정도를 가진 물체의 표면에서 느낄 수 있다. 거리감이나 입체감, 질감, 방향감, 위치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색은 광원색(빛을 발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직접 인식되어 느껴지는 색 : 조명기구, 햇빛 등), 금속색(빛 중에서 특정 파장이 강한 반사를 통해서 지각되는 색 : 금속, 도료 잉크 등), 형광색(물질이 빛의 자극에 의해 발광하는 현상 : 도로표지판, 작업복 등)으로 나뉜다.
공간색(Volume Color)
빛을 투과시키는 물체를 통과해서 나오는 빛에 의해 지각되는 색을 말한다. 유리컵이나 투명한 물체와 같은 물 등의 투명한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가 형성될 때 느껴진다.
경영색(Mirrored Color)
거울과 같이 광택이 나는 투명한 물질의 표면에 나타나는 완전 반사에 가까운 색을 말한다.
2-1. 무채색과 유채색
무채색(Achromatic Color)
흰색, 검정색, 회색으로 색상과 채도가 없는 색으로 명도로만 구별한다.
물체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빛의 반사율, 흡수율로 정해지며 반사율 85%이상이면 흰색, 60%는 밝은 회색, 30%는 어두운 회색, 3% 미만이면 검정색으로 보이게 되어 반사율이 높을 수록 그 밝기도 높아진다.
유채색(Chromatic Color)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으로 색감을 가지고 있으며 색의 3속성(색상, 채도, 명도) 을 모두 지닌다.
유채색은 약 750만종에 달하며 우리 인간이 대체로 지각할 수 있는 색은 200여 종에 불과하다.
2-2. 색의 3속성
인간이 색을 지각할 때 색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에 따라 느껴지는데 이렇게 색을 규정하는 세가지 지각성질을 색상(Hue), 명도(Lightness/Value), 채도(Saturation/Chroma)라고 한다.
<색상 명도 채도>
색상(Hue)
x축이며, 색상을 나타낸다.
명도(Lightness/Value)
y축이며, 명암을 나타낸다.
채도(Saturation/Chroma)
x축이며,
최고 14단계(RED)를 가진다.
2-2-1.색의 3속성_색상(Hue)
색상
명도나 채도에 상관없이 색과 색상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색채의 이름을 말한다.
색상환
색의 이름을 구별 하고, 이를 연속적인 원형으로 배치하여 색상의 위치나 변화를 쉽게 표현한 것으로 색상환의 단계는 10색상환, 12색상환, 24색상환 등으로 나뉜다.
빛의 3원색
RGB 빨 초 파
색료의 3원색
CMY_K 빨 파 노 (검)
https://images.app.goo.gl/GvG8VNhopML5XqKT8 2-2-2. 색의 3속성_명도(Lightness/Value)
색의 성질 가운데 밝기의 개념으로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물체의 밝고 어두움의 정도, 색이 밝을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어두울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선형이며 단계적이다.
2-2-3. 색의 3속성_ 채도(Saturation/Chroma)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채도가 가장 높은 색과 선명하고 강한 색을 순색이라고 하며 이 순색에 무채색을 혼합하면 채도가 낮아진다. 순색에 무채색을 혼합하는 마지막 단계는 흰색, 회색, 검정색으로 채도가 사라지게 된다.
3. 색의 체계
색을 좀더 쉽게 파악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든 개념으로 둥근 원주형의 색상환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색 체계의 장점
측색기가 필요 없고 사용하기가 쉬우며 시각적으로 확인하므로 이해하기가 쉽다. 또한 색채의 배열 및 개수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색 체계의 단점
각 표색계 사이의 색좌표 변환이 쉽지 않으며 색채 사이의 간격이 넓어 정확한 색 좌표를 구하기 어렵고, 고채도색이나 형광, 금속빛깔 등의 표색이 불가능하다.
광원과 같은 자체 발광색을 표시하기 어렵다.
색 입체
수 많은 색을 체계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색상의 수와 명도, 채도의 전개 범위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많은 학자들이 육면체, 구, 원추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3-1. 먼셀의 색체계
먼셀(Albert. H. Munsell, 1858~1918) : 미국의 색채 연구가 겸 화가가 고안해낸 체계이다. 시감을 바탕으로 색을 분류하는 체계이며 모든 색채를 색의 3속성으로 표기 했다. 한국 공업규격에서 색의 3속성에 의한 표기방법으로 제정, 교육용으로도 채택하였다.
표기방법 :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순서대로 HV/C
예) 순색 빨강=(5R4/14) – 5R : 색상 4 : 명도 / 14 : 채도
색상 : 기본색<빨강,노랑,초록색,파랑,보라>과 중간색<주황, 연두, 청록, 남색, 자주> 그리고 세부색<기본색상과 중간색상을 각각 10등분하여 총 100가지 색상을 기호 앞에 숫자로 표시>으로 나눔.
명도 : 검정 : 0, 백색 : 10으로 그 사이를 아홉 단계의 무채색으로 나누어 총 11단계로 구분한다.
채도 : 1~9의 명도단계를 축으로 하여 채도의 시작점을 0으로 표기하고 색의 순도가 증가할수록 1~14단계로 표기한다(색상 별로 채도단계가 다르므로 순색 빨강은14, 청색8)
이외에 오스트발트(Wilhelm Ostwald)의 색체계와 NCS(Natural Color System) 색체계 등이 있다.
'색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 지각의 효과 :: 보색심리, 메카로효과, 게슈탈트(Gestalt)의 법칙 (0) 2020.10.08 우리의 눈과 색채 지각 :: 색각이상 색맹, 부분색맹, 색약 (0) 2020.09.20 생활 속 색채 심리 :: 빛의 반사, 흡수, 간섭 (0) 2020.09.20 빛의 개념 :: 빛과 색의 차이, 색의 정의 (0) 2020.08.19